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말로만 상생' 배달의민족, 입찰형 광고 낙찰가 공개한다
    기사 모음 2018. 10. 27. 12:22

    O2O 서비스기업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의민족’이 그간 논란이 돼왔던 입찰형 광고의 낙찰가를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지난 2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에 대한 종합감사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이날 감사에서 정우택 자유한국당 의원은 “낙찰가를 공개하지 않다 보니 경쟁을 유발해 업계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배달의민족이 제공하는 입찰형 광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김 대표는 “오히려 경쟁이 붙을까봐 공개하지 않았던 것”이라며 “요구가 이어진다면 낙찰가를 공개할 수 있다”고 답했다.

    ‘슈퍼리스트’로 불리는 배달의민족의 입찰형 광고는 그동안 갖은 논란을 일으켜 왔다. 소비자에게는 선택의 기회를 열어주고, 각 업소는 효율적인 광고를 가능케 한다는 앱 취지와 달리 매장 간 빈부격차만 확대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슈퍼리스트는 지역별·업종별로 경매를 통해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을 제시한 업소가 상단에 노출되도록 하는 방식의 광고다. 다만 낙찰가가 비공개인 탓에 깜깜이식 출혈경쟁 우려가 잇따랐다.

    실제로 자영업자들이 모인 온라인커뮤니티만 봐도 이에 대한 불만을 호소하는 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까지 슈퍼리스트 광고를 했었다는 한 업주는 “지난해 1월 2만원대로 낙찰받았던 게 최근엔 40만원대까지 올랐다”며 “자본력을 갖춘 업소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면 무기력해지는 게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배달의민족이 낙찰가 공개를 시사한 건 상당한 입장변화로 읽힌다. 그동안 우아한형제들은 해외 사례를 들며 해당 광고서비스 논란을 외면해 왔기 때문이다.

    우아한형제들은 줄곧 “입찰형 광고는 구글, 텐센트 등 글로벌 IT기업 다수가 채택한 방식”이라며 논란을 일축했었다. 그러나 이는 “영세 자영업자가 대부분인 우리 배달 시장에선 적합하지 않은 비교”란 반론에 부딪히기도 했다.

    이처럼 논란이 지속되자 일각에선 배달의민족이 말하는 ‘상생’이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각종 문제들이 발생할 때마다 땜질식 해결에 나섰거나, 현재까지도 막강한 플랫폼을 앞세워 자영업자의 울며겨자먹기식 광고를 부추긴다는 이유에서다.

    배달의민족은 2015년 과도한 수수료가 논란이 되자 0% 수수료를 선언했다. 이는 소상공인들과의 상생에 나선 모범사례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당시는 카카오가 배달사업을 검토하던 때였다는 점에서 순수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은 수수료 0%를 선언한 지 1년도 채 안 돼 문제가 된 슈퍼리스트 광고를 도입했다. 이를 계기로 경영여건도 크게 개선했다. 슈퍼리스트를 도입한 2016년 배달의민족의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7배 늘어난 217억원을 기록했다.

    그 이듬해인 2017년에는 사실상 반강제와 다름없는 할인쿠폰 도입이 도마에 올랐다. 당시 배달의민족은 업주들과 협의 없이 새로 개업한 가게를 대상으로 하는 '반짝쿠폰'과 단골고객에게 제공되는 '단골쿠폰'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가 문제가 된 이유는 한 업소가 쿠폰을 도입하면 인근 매장들이 따라갈 수밖에 없는 시장구조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한 매장이 쿠폰을 도입하면 그곳에 고객이 몰리다 보니, 매출에 민감한 자영업자들은 덩달아 쿠폰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서비스 이용 가격은 반짝쿠폰은 1주일에 9000원, 2주에 1만8000원을 내야 한다. 부가세는 별도이고 선불로 결제해야 한다. 단골쿠폰은 1개월 기준 이용료 1만8000원이며 3개월에 4만8600원이다. 마찬가지로 부가세는 별도에 선불이다.

    이 제도는 특히 광고효과조차 증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한 비판을 샀다. 배달 수요는 정해져 있는데 다수의 가게가 쿠폰을 사용하면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결국 실질적으로 매출의 증대보단 유지를 위해 광고하는 셈이다.

    올해에는 안심번호 제도가 문제로 떠올랐다. 이 제도는 주문고객의 실제 번호 대신 가상 번호를 노출하는 게 특징이다. 지난해 말 배달의민족 안에서 일부 업주와 배달원이 고객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성희롱 등을 한 사례가 발생하자 그 방지책으로 도입됐다.

    좋은 취지로 도입됐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부작용이 발생했다. 업주들은 고객과의 소통착오 및 블랙컨슈머, 허위배달 등에 대응할 수 없는 점을 꼬집는다. 이들은 그로 인한 피해를 전부 자신들이 떠안아야 해 부담이 가중된다고 토로한다.('배달의민족' 안심번호에 뿔난 자영업자들<그린포스트코리아> 4월 8일 보도)

    김 대표는 우선 슈퍼리스트 낙찰가를 공개하겠다며 "어떤 방식이 사장님들에게 더 도움이 될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달의민족이 이를 계기로 어떤 변화를 시도할지 관심이 모인다.

    이날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쇼핑들처럼 영세 소상공인들에게 무료 광고를 지원할 생각은 없냐"고 김 대표에 물었다.

    김 대표는 "가능할지 검토해보고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배달업계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다양한 불공정 행위들에 즉각적으로 조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근본적으로는 상생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니 이를 고려해 대책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