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남물재생센터 방류수에 녹조 성분 '득실'…기준치 수십번 초과
    기사 모음 2018. 12. 20. 14:21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인 ‘서남물재생센터’가 지난 1년 동안 수십번에 걸쳐 방류 수질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4개 물재생센터(중랑·난지·탄천·서남) 중 기준치를 넘어선 것은 서남물센터가 유일하다.

    서울시가 물재생센터의 체계적인 운영과 함께 수질 개선도 기대하며 계획한 ‘물재생센터 공단'도 내년 출범은 사실상 무산됐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2016년 물재생센터 4곳을 공단으로 합쳐 2019년 설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서울시공무원노조는 공단 설립을 반대하며 직영화가 대안이라고 맞선다.

    ◇ 부유물질 기준치 35번 초과...3배 넘는 날도 

    19일 <그린포스트코리아>가 입수한 '서울시 물재생센터 방류수질 현황'을 보면 한강 상류에 위치한 서남물재생센터의 방류수는 수십차례에 걸쳐 기준치를 초과했다. 이 자료에는 서울시 물재생센터 4곳의 지난 1년간(2017년 10월~2018년 10월) TMS(수질원격감시장치) 방류수 수질 기록이 담겼다.

    자료에 따르면 서남물재생센터의 방류수는 지난 1년간 부유물질량(SS) 기준치(10㎎/ℓ)를 35번 초과했다. SS는 물의 혼탁한 정도를 말해준다. 지난 5월 19일 이곳의 SS는 기준치보다 약 3배가량 높은 26.8㎎/ℓ까지 올랐다.

    같은 기간 총인(t-p)은 기준치(0.5㎎/ℓ)를 43번 넘어섰다. 특히 지난 6월 27일에는 기준치의 2배를 넘긴 1.153㎎/ℓ까지 올랐다. 총인은 주로 하수처리장 분뇨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녹조 유발 물질로도 잘 알려졌다.

    t-n(총질소)는 가장 심하다. 서남물재생센터는 총질소의 기준치(20㎎/ℓ)를 98번 초과했다. t-n이 높을 수록 조류의 대량 증식 가능성도 높아진다. 지난 1월 13일부터 두 달간 하루도 빠짐없이 t-n 기준치를 넘어섰다.

    이밖에 난지, 중랑, 탄천물재생센터는 같은 기간 기준치를 넘어선 적이 한번도 없어 대조를 이뤘다.

    특히 서남물재생센터 하수처리장은 각종 오염문제가 심각한 한강상류에 위치했다. 한강상류는 녹조가 심한 데다 끈벌레떼 출현이 잦아 인근 어민들이 수년째 피해를 호소하는 곳이다.

    서남물재생센터의 방류수가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서남물재생센터는 2013년 수질 기준을 위반해 시정 조치를 받은 적이 있다. 2016년에는 일대 어민들이 기준치 초과 방류수를 규탄하며 집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서남물재생센터는 올해 행정처분도 받았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 1월과 4월 서남물재생센터에 방류수 기준치 초과를 이유로 과태료 500만원씩을 물렸다.

    이처럼 반복되는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당장 서울시는 서남물재생센터의 시설을 대대적으로 보강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남물재생센터는 다른 센터와 달리 비가 조금만 와도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등 시설이 열악한 편”이라며 “이 때문에 1차 처리만 거쳐 방류되는 경우가 잦아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도 많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물재생센터의 처리용량을 초과해 1차 처리 후 방류해도 하수도법 위반은 아니다”며 “대대적인 시설 개선 투자를 비롯해 전반적인 관리 노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서울시는 내년까지 2500억원의 공사비를 들여 서남물재생센터를 비롯한 4개의 하수처리센터에 총인처리시설 등을 각각 설치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해당 시설이 완공되면 한강의 녹조 피해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 내년 중 물재생센터 '공단 전환'은 불가능 할 듯

    서울시 물재생센터의 운영 및 관리 혁신도 시급한 과제다. 현재 서울시의 물재생센터 운영은 직영(중랑·난지)과 민간위탁(탄천·서남)으로 이원화됐다. 이에 따른 운영상의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게 지적의 핵심이다.

    서울시도 이런 지적을 반영한 혁신안을 제시했다. 지난 2016년 물재생센터 4곳을 합쳐 2019년 공단으로 출범할 계획을 발표했다. 물재생센터를 더욱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관리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인다는 취지다. 공단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공단 전환은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서울시공무원노조가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처럼 하수처리사업 역시 서울시가 직영해야 한다고 맞서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무원 노조 측과 이견이 커 현재로서는 공단 전환을 장담할 수 없다”며 “시의 계획대로라면 주민공청회가 내년 중 열려야 하지만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공단 전환을 반대하는 목소리는 중랑·난지물재생센터 쪽에서 나온다. 현재 민간이 위탁해 운영 중인 탄천과 서남물재생센터의 경우 공단으로 전환하면 직원 처우 개선이 기대되지만, 중랑과 난지물재생센터 직원은 공무원 신분을 잃는 만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노조측은 공단 전환은 이명박정부 시절 문제가 된 공공기관 민영화의 일종이라고 지적한다. 

    서울시공무원노조 관계자는 “공단으로 전환되면 센터가 자체 수익사업을 벌이는 등 이윤을 추구해야 한다. 시 예산 지원도 갈수록 줄어들고 부담은 오롯이 시민이 짊어질 것”이라며 "서울시가 물재생센터의 공공성과 운영상 효율을 동시에 갖추려면 상수도처럼 하수도도 서울시 직영 기업 형태로 가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와 노조는 공단 전환 이후 서남물재생센터 시설 개선 효과를 놓고도 의견이 엇갈린다. 서울시는 관리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보지만, 노조측은 지원 예산이 줄어들어 오히려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단 설립은 운영 및 관리체계상의 전환이라 각 센터 방류수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다만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면 기술연구소와 같은 하위 전문기관의 지원이 더해져 현재보다 나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노조 관계자는 “하수도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수관로의 관리”라며 “이는 공공성이 상당히 요구되는 분야인데, 이를 민영화한다면 오히려 방류수의 수질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앞으로 공단 전환 논의의 쟁점은 서울시 하수도 관리 업무에 투입될 직렬배치가 될 전망이다. 중랑과 난지물재생센터 직원 50%가 5년 이내 퇴직이 예정됐기 때문이다. 이는 2013년 정부의 직종개편으로 기능직이 폐지된 데 따른 영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관리운영직이라고 할 수 있는 기능직이 폐지돼 중랑과 난지물재생센터는 퇴직한 인원만큼의 신규 인원 충원이 불가능하다”며 “공단으로 전환해 일반직을 선발해야하는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노조측은 “기능직 충원이 안 된다는 이유로 공공사업을 민영화한다는 발상은 주객이 전도된 것”이라며 “통합 후 직영기업 형태로 가도 충분히 일반직으로 충원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Designed by Tistory.